개발/배포

MSA와 같은 분산 아키텍처의 경우 (롤링/블루 그린/카나리) 배포 전략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롤링 배포(Rolling Deployment) 롤링 배포는 어플리케이션의 새로운 버전을 배포할 때, 여러 대의 서버에 순차적으로 배포하는 방식이다.  시작 상태: 두 대의 서버(A와 B)가 동일한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입니다.서버 A 업데이트: 서버 A에 새로운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배포가 완료되면 헬스 체크를 통해 서버 A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로드밸런서 업데이트: 서버 A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확인되면 로드밸런서가 서버 A로도 트래픽을 보내기 시작합니다.서버 B 업데이트: 서버 B에 새로운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배포가 완료되면 헬스 체크를 통해 서버 B가..
기존 배포방식의 문제점AWS의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배포하고 관리하는 과정에서, FileZilla를 통해 빌드 파일을 직접 인스턴스에 복사한 후, Putty로 SSH를 이용하여 인스턴스에 접속, 실행하는 방식을 사용해 왔다. 이러한 수동 배포 방식을 사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발견하게 되었다.1. 배포 과정의 번거로움: 매번 파일을 전송하고, 서버에 접속하여 실행하는 과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번거롭다.2. 실수의 가능성: 수동으로 진행되는 모든 과정은 실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파일을 잘못 전송하거나, 실행 명령어를 잘못 입력하는 등의 실수가 서비스 중단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불필요한 추가 작업을 요구했고, 따라서 자동화 배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
오승미
'개발/배포' 카테고리의 글 목록